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 722.9 변속기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2.1. 7G-TRONIC
2.2. 7G-TRONIC Plus
2.3. AMG Speedshift 7G-MCT
3. 형식
4. 적용 차종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메르세데스-벤츠의 전자제어 종치 7단 자동변속기.


2. 상세[편집]



2.1. 7G-TRONIC[편집]


  • TCU : VGS-NAG2 (지멘스)
  • ATF 규격 : MB 236.14(붉은색)

2003년 9월에 데뷔됐다. 이후 적용 엔진이 순차 확대됐다.

전작과 달리 TCU가 변속기 내부 밸브바디 상단에 컨덕터플레이트와 통합되어 들어가며 VGS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예전 5G트로닉에는 컨덕터플레이트가 열을 먹고 단선이나 펄스제네레이터 고장이 발생하면 그것만 교체할 수 있었으나 이때부터는 한덩어리라 부품가격도 비싸지만 벤츠 전용 진단기(Xentry)를 물려서 독일 서버에서 해당 차량의 사양에 맞는 프로그램을 내려받는 SCN 코딩[1]이라는 작업을 해야한다. 고로 사설정비소에서 작업이 불가[2]한 경우가 있다.

오일 딥스틱이 삭제되어, 진단기로 유온을 보고 레벨링을 해야한다.

2006년 이후 칼럼식 모드 셀럭터 장착 상위 고급 차종들에는 인히비터 스위치 대신 전자식 액추에이터(ISM)가 선택사양으로 장착됐다. 간혹 이게 고장나면 P, R, N, D 레인지 변경이 안되어 견인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도 발생한다.

  • W7A700, W7A400

기어비
14.3772
22.8586
31.9206
41.3684
51.0000
60.8204
70.7276
R13.4157
R22.2307


2.2. 7G-TRONIC Plus[편집]


  • ATF 규격 : MB 236.15(청록색)

2010년에 첫 출하됐다. 같은 7단이라고 236.14 붉은색 오일을 넣으면 문제가 생긴다.

ISG 사양에 외장형 전동 오일펌프가 장착됐다.

  • W7C700, W7X700, W7C1000


2.3. AMG Speedshift 7G-MCT[편집]


  • K7C1000, K7X1000

토크 컨버터 대신 습식 다판 클러치를 장착해 자동화 수동변속기로 개조한 버전이다.


3. 형식[편집]


형식명사양명사양
722.901W7B700
722.902W7C700
722.903W7C700
722.904W7C700
722.905W7C700
722.906W7C700
722.907W7C700
722.908W7C700
722.909W7C700
722.930K7C1000
722.931K7C1000
722.932W7C100
722.950W7N700
722.951W7N700
722.960W7X700
722.961W7X700
722.962W7X700
722.963W7X700
722.964W7X700
722.965W7X700
722.966W7X700
722.967W7X700
722.968W7X700
722.969W7X700
722.971K7X1000
722.972W7X700
722.980W7C700
722.982W7C700
722.993W7C700
722.994W7C700
722.995W7C700
722.996W7C700
722.997W7C700
722.998W7C700
722.999W7C700



4. 적용 차종[편집]




5.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분류횡치종치
4단-722.3
5단5G-TRONIC
7단7G-DCT7G-TRONIC
8단8G-DCT-
9단-9G-TRONIC FL
·
9G-TRONIC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4:37:22에 나무위키 메르세데스-벤츠 722.9 변속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VGS 외에도 에어백, ABS/ESP, 도난방지 관련 모듈(EIS,ESL) 등의 부품들은 신품을 교환 후 이 작업을 안 하면 차대번호 정보가 없어서 다른 모듈과 통신이 안 된다.[2] 간혹 중국산 복제진단기 중에 벤츠 서버를 해킹해서 SCN 코딩이 가능한 진단기도 있긴 하지만, 서버 보안 강화로 접속이 막히기도 한다.